채권파일 만들기 습관이 채권관리의 시작이다(2)

.법인채무자 채권파일의 필요성
법인과 관련된 채권은 실무상 부도 또는 부실 시 회수하기가 매우 어려운 바 사전에 집중 관리를 통한 채권파일을 필히 만들어 놓고 수시로 점검 및 상황을 기록하여야 하며,영업담당자는 부실 등의 조짐 발생 징후를 발견한 경우 이를 상급자에게 허위 없이 전부 보고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 입니다.
즉,사전에 거래처 회사를 수시로 관리감독하고 이를 채권파일에 잘 정리를 해놓을 경우 문제 발생 시 사전에 파악해놓은 정보 및 담보 등을 통해 신속한 채권회수를 완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법인채무자 채권파일의 기본 서류
가.계약서
나.법인등기부등본
다.법인인감증명서
라.사업자등록증
마.대표자 연대보증서
바.잔고확인서 또는 차용증
사.세금계산서

아.채무상환계획서(변제각서)
자.부동산등기부등본
차.자동차 등록원부(회사자산)
카.임대차 계약서
타.담보관련 서류
파.공정증서
하.내용증명 등(주고 받은 등기 문서 및 이메일 등)

tip:법인이 채무자일 경우 가능한 대표이사의 연대보증을 입보해야 합니다
법인의 경우 대표이사를 연대보증으로 세우느냐가 채권회수의 중요한 부분이 됩니다
이는 법인이 부도가 나는 경우나 갑자기 법인이 휴,폐업을 한 경우 연대보증인인 대표이사에게 변제의무를 부담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그러므로 법인은 가능한 경우 대표이사의 연대보증을 유도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 입니다.

'채권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거래상 서류관리가 채권회수의 기본이다(2) (0) | 2021.02.07 |
---|---|
상거래상 서류관리가 채권회수의 기본이다(1) (0) | 2021.02.05 |
채권파일 만들기 습관이 채권관리의 시작이다(1) (0) | 2021.02.01 |
미수대금 회수를 위한 임의회수와 강제회수의 차이점 (0) | 2021.01.28 |
돈을 갚지않는 채무자를 상대할때 반드시 주의해야할 점 (1) (0) | 2021.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