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인터넷상 악플러들에게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한번 꾹 참고 넘어가면 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악플과 비난에 시달리면

매일매일 괴로운 생각이 들고 무척 힘이 듭니다.

 

악플을 다는 행위가 벌을 위반한 것이라면

처벌 할 수 있을까요?


형법 제311조(모욕)

공연히 사람을 모욕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2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형법 제312조(고소와 피해자의 의사)

.제308조와 제311조 죄는

고소가 있어야 공소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상에서 악플로 상대방을 모욕하면

형법 제311조에 따라

1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2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312조에 따라서 고소가 있어야

처벌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악플러를 처벌하고 싶다면

반드시 고소를 진행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이 대신 신고하는 것으로는

수사가 시작되지 않습니다.

 

모욕죄가 성립하려면

먼저 '공연성'이 필요합니다.

공연성이란 불특정 또는 다수인이

인식할 수 있는 상태,

 

또는

불특정 다수인에게

전파될 가능성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즉 많은 사람이 보거나 들을 수 있는 상황에서

모욕이 이루어 졌을 때

모욕죄가 인정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페이스북 메시지나

인스타그램 DM으로 모욕을 받으면

공연성이 인정되기 힘듭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는 웹사이트 게시판에

욕설 댓글을 달면

공연성이 인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대상이 특정되어야 합니다.

허공에 대고 욕을 하는 것처럼

누군가를 특정하지 않은 악플은

모욕죄가 성립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과연 인터넷상에서 '아이디'를 욕했을 경우

대상이 특정되었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대부분의 모욕죄 고소는

이 부분을 가리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헌법재판소는 특정인의 실명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그 표현의 내용을 주위 사정과 종합하여 볼 때

그 표시가 특정인을 지목하는 것임을

알아차릴 수 있는 경우"에는

"모욕의 죄책을 면하기 어렵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누군가 우리를 지목하여 글을 쓰거나

욕설 댓글을 달았을 때

아이디 프로필을 살펴보면

 

실제 인적 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거나,

게시판에 인적 사항을 밝힌 적이 있거나,

온라인 커뮤니티 사람들과

오프라인 모임을 가지고

전화번호와 같은 연락처를 공유한 적이 있다면

그 악플러를 모욕죄로 처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악플로 인해

단순히 기분이 나빠졌다고 해서

모욕죄가 성립하지는 않습니다.

 

그 악플이

타인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것일 때

모욕죄가 성립합니다.

 

그리고

단순 농담, 불친절, 무례 정도에 불과한 것들을

모욕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모욕이냐 아니냐를 구분하는 기준은

사례마다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