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의 일종이자 콩물이 응고되었을 때 수분을 제거하지 않은 채로 말랑하게 만든 식품 두부,
영어로는 Soft Tofu.연두부와 같다
두부를 만들 때 콩물을 응고하여 압착한 경우에는 단단한 일반 두부로 나오지만 순두부의 경우는
이를 압착하지 않기에 일반 두부와는 다르다.응고제를 무엇을 쓰는가에 따라서 식감이 달라진다.
전통 방식인 염화마그네슘(바닷물)을 쓰면 몽글몽글해지고 하루만 두어도 일반 모두부와
식감이 같아진다. 그외의 다른 응고제를 쓰면 시판되는 순두부,연두부와 같이 부드러워진다.
시판되는 경우는 일반 두부와는 달이 포장도 다르게 하는 편이다.
일반 두부가 네모난 포장에 그대로 나온다면 순두부는 특수 포장으로 나오게 되어서
일반 두부와 확연히 구분을 하는 편이다
부드럽고 말랑거리는 특징 때문에 먹기에도 편하다
주된 요리는 순두부찌개,그냥 간장 간에 떠먹는 경우도 있다.
강원도 속초시에는 학사평마을이라는 곳에서 손두부촌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매운 양념을 넣은
순두부찌개가 아닌 순두부 그대로 밥상에 오르는 편이다.
이 지역에서는 순두부를 초두부라고도 부른다.
강원도 강릉시가 이 순두부로 또 유명한데 초당동의 순두부 마을이 그 중심이며
다양한 순두부와 순두부찌개를 주로 판매한다
한국에서는 순두부찌개로 끓여먹거나 간장,파 등의 양념장을 얹어 먹는 게 일반적이며,
중국 남부 지역에 위치한 청도에서는 '또푸나우'라는 요리가 있다.
또한 중국을 포함한 홍콩,대만 등지에서는 보통화로는 '또푸화'또는 광동어로는 '또우파'라고
순두부에 적설탕이나 과일 시럽 등을 섞어서 디저트로 먹기도 한다.
푸딩 비슷하지만 더 담백하고 산딸기나 블루베리 등 생과일을 얹어 먹으면 매우 맛있다.
중국에서 먹는 후식용 두부는 행인두부라고 부르며 콩으로 만든게 아니라,
젤라틴에다가 살구씨와 아몬드 향을 더한 것이다.
다만 그 모양새와 질감이 두부같아서 두부라고 부를 뿐이다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 먹자 -천엽- ! (0) | 2019.04.29 |
---|---|
맛있는 주꾸미를 알아보았습니다~!! (0) | 2019.04.26 |
알고 마시자!! 증류주(소주)-1- (0) | 2019.04.22 |
맛있는 곱창 알고 먹자~^^ (0) | 2019.04.19 |
보세(옷) 란 어떤 뜻 일까요 !! (0) | 2019.04.17 |